"함께 걸어가는 길 위에서: 속담이 들려주는 삶의 시(詩)“
농산품 중에 ”깨“가 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고소하고 맛있는 깨가 무엇일까요? 참깨? 들깨? 아닙니다. 정말 고소하고 맛있는 깨는 ”함께(with)“입니다. 여러분과 ”함께“하는 분들과 이번주도 ”함께“ 행복하시길 기도합니다.
아프리카 속담에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는 말이 있습니다. 이 아프리카 속담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깊은 지혜와 사회적 상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속담에서 담긴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빨리 가려면 혼자 가라
혼자 가면 의사 결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단기적인 목표를 빠르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계획과 목표에 대해 독립적으로 행동하면 불필요한 지연이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할 때의 효과적인 전략을 나타냅니다.
2. 멀리 가려면 함께(with) 가라
그러나 더 큰 목표나 지속적인 성공을 이루고자 할 때는 협력과 공동 노력이 필요합니다. 멀리 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배경, 경험, 지식을 공유하며 함께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집단지성의 힘을 빌려서 더 넓은 영향을 창출하고, 서로의 강점을 살려 나갈 수 있습니다.
이 속담은 자기주장과 독립성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더 큰 비전을 위해 협력하고 공동으로 나아가야 하는 상황에서도 유용한 원칙을 제시합니다. 이는 개인과 공동체 간의 균형을 강조하며, 서로 다른 상황에 대응하는 다양한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지혜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속담에 담긴 "함께"라는 단어는 그 자체로 강한 힘과 결집력을 나타내며, 이는 다양한 개인이나 그룹이 힘을 모아 하나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에 더하여 "함께"라는 개념이 추진력이 결집되어 문화를 형성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가치들을 강조한다는 점은 더욱 의미 있는 설명입니다.
첫째, 추진력과 힘
"함께"는 그 자체로 협동과 연대의 힘을 상징합니다. 여러 사람이 하나의 목표를 향해 힘을 모으면 더 강력한 추진력이 형성되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는 단순한 합작이 아닌 팀워크와 상호작용에서 나오는 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둘째, 문화 형성
추진력이 결집되면 문화가 형성된다는 아이디어는 매우 중요합니다. 여러 사람이 나아가는 방식, 가치관, 의식 등이 모여서 공동의 가치 체계나 행동 양식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조직, 공동체, 또는 사회 전반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함께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문화는 참여자들 간의 유대감과 상호 이해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셋째, 포용과 공평, 함께의 가치
"포용"과 "공평"은 함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덕목으로 간주됩니다. 각기 다른 배경과 역할을 가진 다양한 개인이나 그룹이 함께 노력할 때, 포용과 공평은 갈등을 예방하고 긍정적인 협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함께의 가치는 개인의 이익뿐만 아니라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고려하고 함께 성장하는 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라는 속담은 단순한 행동의 원칙을 넘어, 공동체의 발전과 윤리적인 원칙에 대한 깊은 고찰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